1) 주제별 추진내용
공통 실천 과제 |
---|
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문화예술 교육활동 |
감성과 창의성을 향상하는 문화예술 체험 및 나눔 활동 |
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 및 전용공간 확보 |
학생, 학부모,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 연수 |
초등학교 (오감으로 만나는 놀이) |
> | 중·고등학교 (맞춤형 성장 프로젝트) |
> | 전공과 (재능 적용 프로젝트) |
---|---|---|---|---|
중점교육: 놀이와 교구를 통한문화예술적 오감 체험 | 중점교육: 잠재력 개발과 문화 예술적 성장 | 중점교육: 소통과 공감하는 건전한 문화 생활 | ||
- 음악, 미술 교육 및 체험을 위한 교구 및 기자재 지원 - 놀이와 교구를 통해 놀이를 확대한 음악적 공간으로 안내 - 창의 미술, 감각 놀이를 통한 학년군 별, 주제별 활동 - 다양한 미디어 및 도서를 활용한 인문학 교육 - 음악 공연 및 미술 전시회 관람 및 참여를 통해 놀이의 기쁨 찾기 - 지역사회 문화예술 체험 - 교육 가족(학생, 학부모, 교원)이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 기반 마련 |
- 음악, 미술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한 교실 환경 구성 - 오르프, 관현악(학생 오케스트라), 타악합주단, 밤벨 수준별 수업 - 창의 미술, 회화, 공예 관련 잠재력 개발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주제 활동 - 신체 표현, 대사, 노래, 율동, 무대미술, 의상 등과 연계한 연극 융합 교육 - 음악 공연 및 미술 전시회 관람 및 참여를 통한 예술적 성장 기대 -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활동 참여 - 교육 가족(학생, 학부모, 교원)이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 기반 마련 - 초아 타악합주단 운영(대천여고와 연합) |
- 음악, 예술적 공예 교육 및 체험을 위한 제반 여건 마련 - 수준별 맞춤 학생 오케스트라, 합창을 위한 이동 수업 - 미술, 회화, 공예 등 직업, 여가 활동과 연계한 주제 활동 - 시 낭송, 꿈 펼침 글쓰기 발표회 등 문학관 활용 - 음악 공연 및 미술 전시회 관람 및 참여 -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활동 참여 - 학생, 학부모, 교원 연수 및 졸업생 평생교육과 연계 |
2) 초등학교 추진내용(오감으로 만나는 놀이)
시기 | 추 진 내 용 | 대상 | 예산(천원) |
---|---|---|---|
2월 | - 문화예술교육 특색 사업 계획 수립 -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준별 교육 계획을 위한 예술융합 커리큘럼 수립 -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오감놀이 |
초등 | |
3월 | - 오르프 킨더를 활용한 악기 놀이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대체 악기 지도 - 미술 교과 수업을 통한 미적 탐색, 작품 감상, 다양한 표현 활동 - 다양한 미디어 및 도서를 활용한 인문학 교육 활동 |
초등 | - |
4월 | - AI 스피커 활용하여 음악 듣기 및 음표 놀이 교육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타악기, 및 음률 악기 지도 - 지역사회의 자연소재를 활용한 미술 활동 - 주제별 미술 그리기 대회 및 전시 - 인형극, 영화관람 | 초등 | |
5월 |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핸드벨 지도 - 꿈 펼침 주간 참여 - 음악 초청공연 관람 - 지역사회 전시 관람 체험 - 연극관람, 초청공연, 놀이 체험 |
초등 | - |
6월 |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음률악기 지도 - 미술 교과와 연계한 AR 색칠 - 초청공연, 발표회, 전시회 및 체험 |
전교생 | - |
7월 |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멜로디언 지도 - 머드 체험 및 작품 만들기 - 미술 작품전시회 |
전교생 | |
8~9월 |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멜로디언 지도 - 오감 놀이, 색칠하기 등 주제 활동 |
초등 | - |
10월 |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터치벨 지도 - AI 음표 놀이를 이용한 작곡 선율 방송 - 발표회, 전시회, 영화 관람 - 각종 대회 참가 |
전교생 | |
11~12월 | - 오케스트라 단원 확보를 위한 리코더 지도 - 끼 펼침 체험 주간 운영 - 작품전시회 |
초등 | - |
3) 중·고등학교 추진내용(맞춤형 성장 프로젝트)
시기 | 추 진 내 용 | 대상 | 예산(천원) |
---|---|---|---|
2월 | - 문화예술교육 특색 사업 계획 수립 -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준별 교육 계획 수립 - 음악, 미술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한 교실 환경 구성 |
중·고 | |
3월 | - 미술 교과 수업을 통한 미적 탐색, 작품 감상, 다양한 표현 활동 - 음률 악기, 오케스트라, 밤벨 이동식 수업 - 학생 오케스트라, 타악합주단(초아) 홍보 및 선발 - 학생 오케스트라, 타악합주단(초아) 운영을 위한 특수학급 및 학부모 협업 - 연극 주제 선정 및 대본 구성 |
중·고 | - |
4월 | - 맞춤형 악기 및 미술 지도 (코티칭 수업) - 연극 대본에 맞는 역할 체험, 연습 - 주제별 그리기 대회 및 전시 - 영화관람 |
중·고 | - |
5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, 타악합주단 운영 - 마을교육 공동체와 함께하는 음악회 - 연극 연습, 연극 관람 - 뷰티 체험 - 지역사회 전시 관람 체험 |
참여학생 중·고 | - |
6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, 타악합주단 운영 - 연극 의상, 소품 준비하기 - 초청 공연, 발표회, 전시회 및 체험 - 연극 축제 참여 준비 |
전교생 | - |
7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- 문화예술 중심학교 운영 - 각종 미술 대회 참가 - 미술 작품 전시회 - 머드 체험 및 작품 만들기 |
전교생 | - |
8~9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- 각종 콩쿨 참가 - 연극 축제 참가 |
중·고 | - |
10월 | - 발표회, 음악회, 전시회 참가 - 각종 대회 참가 - 영화관람(교외) |
중·고 | - |
11~12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평가회 - 지역축제 및 행사 초청공연 참가 - 끼 펼침 체험 주간 운영 - 작은음악회, 학생 각종 발표회, 미술 작품 전시회 |
중·고 | - |
4) 전공과 추진내용(재능 적용 프로젝트)
시기 | 추 진 내 용 | 대상 | 예산(천원) |
---|---|---|---|
2월 | - 문화예술교육 특색 사업 계획 수립 - 고등학교와 연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준별 교육 계획 수립 |
전공 | |
3월 | - 동아리 및 공예 교과 수업을 통한 미적 탐색, 작품 감상, 다양한 표현 활동 - 수준별 맞춤 학생 오케스트라, 합창을 위한 이동식 수업 - 문화예술 중심학교 운영을 위한 특수학급 및 학부모 협업 수립 |
전공 | - |
4월 | - 관악기, 현악기, 타악기로 구성된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- 맞춤형 레슨 실시 - 창체 활동과 연계한 학생 합창단 운영 - 주제별 미술 그리기 대회 (상시 전시) - 영화관람(교외) |
전공 | - |
5월 | - 지역사회 전시 관람 체험 - 창체 활동과 연계한 학생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운영 - 문화예술 중심학교 운영 - 운동회, 초청공연 |
전교생 | - |
6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- 문화예술 중심학교 운영 - 전시회 및 체험, 초청공연 - 지역 예술가와 특수학생들의 교류 기회 마련 |
전교생 | - |
7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- 문화예술 중심학교 운영 - 자기주장, 자기 꿈 발표하기 - 미술 작품전시회 - 머드 체험 및 작품 만들기 |
전공 | |
8~9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 - 문화예술 중심학교 운영 |
전공 | - |
10월 | - 발표회, 음악회, 전시회 참가 - 각종 대회 참가 - 영화관람(교외) |
전공 | - |
11월 | - 지역 축제 및 행사 초청공연 참가 - 시 낭송, 꿈 펼침 글쓰기 발표회 |
전공 | - |
12월 | - 학생 오케스트라 평가회 - 꿈·끼 펼침 체험 주간 운영 - 지역축제 및 행사 초청공연 참가 - 작은음악회, 학생 각종 발표회, 미술 작품 전시회 |
전공 | - |
5) 교육공동체 추진내용
시기 | 추 진 내 용 | 대상 | 예산(천원) |
---|---|---|---|
3월 | - 문화예술 중점교육 홍보 활동 - 관내 특수학급 및 장애인 부모회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홍보 - 마을 공동체 및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 상시 홍보 - 코티칭 운영을 위한 강사와의 소통과 나눔 |
특수학급 학부모 | - |
- 음악, 미술 관련 과정별 장애의 특성과 적성, 학생 수준을 고려한 학생 편성 및 선발(오케스트라, 타악합주단, 악기동아리) | 전교생 | - | |
4월 | -‘문화가 있는 날’주간 운영(장애인의 날 행사 연계) -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공연(신보령 발전) - 영화관람(교외) |
전교생 공연학생 | - |
5월 | - 운동회 연계 초청공연 - 연극 관람(학교폭력 예방교육 관련) |
전교생 | |
6월 | -‘문화가 있는 날’주간 운영 - 다양한 초청공연 감상 |
전교생 | |
7월 | - 모범학생상(문화예술부문) 시상 - 학기별 음악, 미술 학습 결과물 발표회 |
전교생 | |
9월 | - 인형극 관람 | 전교생 | - |
10월 | -‘문화가 있는 날’주간 운영 - 영화관람(교외) - 교외 발표회, 전시회(사제동행) 운영 |
전교생 교원 | |
11월 | -‘문화가 있는 날’주간 운영 - 다양한 초청공연 감상 |
전교생 | |
12월 | - 모범학생상(문화예술부문) 시상 - 교내 발표회, 전시회 운영 |
전교생 | |
연중 | - 사제동행 문화예술교육, 전문적 연수를 통한 교원 역량 강화 - 학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홍보 및 연수 지원 운영 - 졸업생을 지원하는 평생교육 운영 |
교원 | - |